부산 오픈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오픈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는 2003년부터 매년 부산에서 개최되는 남자 테니스 챌린저 대회이다. 단식에서는 김영준, 이형택, 정현 등이 우승했으며, 소에다 고가 3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복식에서는 산차이 라티와타나/손차트 라티와타나 조가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TP 챌린저 투어 - 영월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
영월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는 2013년 대한민국 영월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단식은 브래들리 클란이, 남자 복식은 마린 드라가냐와 마테 파비치가 우승했다. - ATP 챌린저 투어 - 벼룩시장배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
벼룩시장배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열린 남자 테니스 챌린저 대회로, 단식과 복식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2010년에는 개최되지 않았다. - 대한민국의 테니스 대회 - 1988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1988년 서울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 테니스는 1924년 이후 64년 만에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부활하여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총 4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종목 금메달은 슈테피 그라프, 밀로슬라프 메치르, 팜 슈라이버-지나 개리슨 조, 켄 플래치-로버트 세구소 조가 획득했다. - 대한민국의 테니스 대회 - 영월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
영월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는 2013년 대한민국 영월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단식은 브래들리 클란이, 남자 복식은 마린 드라가냐와 마테 파비치가 우승했다. - 200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동아시아 국가들이 참가하는 축구 선수권 대회로, 다이너스티컵의 후신이며 남자부와 여자부 대회가 함께 진행되고, 대한민국이 남자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200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러시아 슈퍼컵
러시아 슈퍼컵은 2003년에 시작된 러시아 축구 리그의 슈퍼컵 대회이며, CSKA 모스크바와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강세를 보였고, 이고르 아킨페예프,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미하일 케르자코프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부산 오픈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부산 오픈 |
영문 명칭 | Busan Open Challenger Tour |
개최지 | 부산광역시 |
경기장 | Spo 1 Park |
종목 | 테니스 남자 단식/복식 |
서피스 | 야외 하드 코트 |
카테고리 | ATP 챌린저 투어 |
드로 | 32S/32Q/16D |
상금 | US$159,360+H |
웹사이트 | 부산 오픈 공식 웹사이트 |
2. 역대 결승
부산 오픈 국제 남자 챌린저 테니스 대회는 단식과 복식 두 가지 형태로 역대 결승이 진행되었다.
2. 1. 단식
연도 | 우승 | 준우승 | 스코어 | ||||||||||||||||||||||||||||||||||||||||||||||||||||||||||||||||||||||||||||||||||||||
---|---|---|---|---|---|---|---|---|---|---|---|---|---|---|---|---|---|---|---|---|---|---|---|---|---|---|---|---|---|---|---|---|---|---|---|---|---|---|---|---|---|---|---|---|---|---|---|---|---|---|---|---|---|---|---|---|---|---|---|---|---|---|---|---|---|---|---|---|---|---|---|---|---|---|---|---|---|---|---|---|---|---|---|---|---|---|---|---|---|
2024 | {{lang|ja|우치야마 야스타카|} | } || 홍성찬 || 7–6(7–4), 6–3
연도 | 우승 | 준우승 | 스코어 |
---|---|---|---|
2003 | 마츠이 토시히데 오노다 미치히사 | 백승복 박승규 | 6–1, 6–3 |
2004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이와부치 사토시 이와미 타스쿠 | 6–7(5), 7–6(1), 6–4 |
2005 | 폴 골드스타인 라지브 램 | 저스틴 짐멜스톱 웨슬리 무디 | 부전승 |
2006 | 스콧 립스키 토드 위돔 | 로버트 켄드릭 세실 마밋 | 6–3, 6–7(2), 10–7 |
2007 | 세르게이 붑카 존 폴 프루데로 | 네이선 힐리 얀 메르틀 | 4–6, 7–6(5), 10–6 |
2008 | 릭 더 부스트 루카시 쿠봇 | 아담 피니 라미즈 주나이드 | 6–3, 6–3 |
2009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이와미 타스쿠 마쓰이 도시히데 | 6–4, 6–2 |
2010 | 라미즈 주나이드 알렉산더 페야 | 피에르-루도빅 뒤클로 양 총화 | 6–4, 7–5 |
2011 | 임규태 다나이 우돔초케 | 제이미 베이커 바섹 포스피실 | 6–4, 6–4 |
2012 | 유키 벰브리 디비지 샤란 | 셰정펑 리 신한 | 1–6, 6–1, [10–5] |
2013 | 펑 셴인 양 총화 | 정석영 임용규 | 6–4, 6–3 |
2014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제이미 델가도 존-패트릭 스미스 | 6–4, 6–4 |
2015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남지성 송민규 | 7–6(2), 3–6, [10–7] |
2016 | 샘 그로스 리안더 파에스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4–6, 6–1, [10–7] |
2017 | 셰정펑 펑 셴인 | 산차이 라티와타나 손차트 라티와타나 | 7–5, 4–6, [10–8] |
2018 | 셰정펑 크리스토퍼 룽캇 | 루안 로엘로프세 존-패트릭 스미스 | 6–4, 6–3 |
2019 | 셰정펑 크리스토퍼 룽캇 | 마쓰이 도시히데 비슈누 바르단 | 7–6(7), 6–1 |
2020-2021 | 개최 안 됨 | ||
2022 | 마크 폴먼스 맥스 퍼셀 | 남지성 송민규 | 6–7(5), 6–2, [12–10] |
2023 | 에반 킹 리스 스탈더 | 맥스 퍼셀 루빈 스타탐 | 기권 |
2024 | 호 레이 남지성 | 정윤성 쉬위시우 | 6–2, 6–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